*저는 해당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월트디즈니(DIS)
대한민국 전 국민이 알고있는 기업 월트디즈니입니다.
디즈니는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큰 IP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자, 콘텐츠 기업입니다.
공격적인 M&A로 세상의 모든 IP를 가지려 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지만, 최근 주가는 상당히 저조합니다.
하지만, 앞으로도 디즈니를 따라올 콘텐츠 기업은 감히 없을 것이라 말하고 싶습니다.
시가총액 약 310조
월트디즈니의 시가총액은 약 310조로 상당히 높은 수준에 위치해 있습니다.
글로벌 기준 전체 35위로 상당히 우량한 기업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성과는 다르게 주가는 코로나 이전 가격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디즈니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것일까요?
팬데믹 사태와 코로나 대유행
디즈니의 사업 영역 중 가장 큰 매출을 담당하던 영역은 테마파크 및 리조트 등의 영역으로 오프라인에서 가장 많은 수익이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한 팬데믹을 선언하고 아직도 코로나의 유행은 종식되지 않았습니다.
위의 차트와 같이 D2C 영역과 테마파크 영역은 20년도 영업이익이 손실이 났으며, 그마저 D2C 영역은 21년도에 손실이 증가하였습니다.
디즈니 배당 중단
디즈니는 본래 1년에 2회 반기 배당을 지급하는 회사였습니다.
하지만, 코로나의 여파로 주력 영역인 테마파크와 영화관에서 정상적인 매출이 발생하지 않자, 과감하게 배당금을 중단합니다.
사실 주가에 대비했을 때 디즈니의 배당금은 기존에도 큰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재무재표에서도 딱히 좋은 흔적은 찾기 힘들어 보입니다.
전환점은 없을까?
그나마 희망적이라 한다면, 디즈니 플러스의 구독자 수는 매 분기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만, 증가 폭이 점점 좁아지는 점은 다소 아쉬움이 있습니다.
디즈니, 12/23 미키마우스 NFT 출시 등
디즈니, 12/23 미키마우스 NFT 출시 등
디즈니, 12/23 미키마우스 NFT 출시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디즈니가 NFT 마켓 플레이스 VeVe에서 미키마우스 NFT를 출시한다. 해당 NFT는 23일 오전 5시(한국시간) iOS 및 안드로이드 버전 VeVe 앱에서
www.mk.co.kr
최근 많은 전통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NFT를 디즈니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가장 큰 IP 보유 기업으로서 좋은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더 사면 그만이야
개인적으로 픽사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토이스토리, 벅스라이프, 몬스터 주식회사는 어릴 적 10번씩 비디오테이프를 돌려볼 정도로 좋아했습니다.
최근엔 토이스토리4와 주먹왕 랄프를 재밌게 봤습니다.
아무튼 디즈니는 픽사, 마블 20세기 스튜디오,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저명한 미디어 콘텐츠 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끝나면 재무재표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는 기업 중 하나...
60개가 넘는 주식 포트폴리오 중 물려있는 몇 안 되는 종목 중 하나...
그럼 이만,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주식 -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2) | 2022.01.24 |
---|---|
미국 배당 주식 -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VZ) (0) | 2022.01.02 |